평택경찰서, 평택시 음주운전 교통사고, 40%p 줄였다 > 헤드라인뉴스

본문 바로가기
상단배너1

헤드라인뉴스

평택경찰서, 평택시 음주운전 교통사고, 40%p 줄였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7-07 12:36

본문



- 교통사고 사망자‧부상자 모두 감소… “엄정한 단속과 지역 협력의 성과”


- 평택경찰서, 상반기 교통사고 분석 발표… “연말까지 2,500건대로 줄인다”



b27a5902d6caed49eb668624ee7b9d59_1751859217_7183.png

▲경기남부경찰청과 평택경찰 서장이 직접 참여한 대규모 음주운전 단속 모습 (사진=평택경찰서)



평택경찰서는 2025년 상반기, 평택시에서 발생한 음주운전 교통사고가 지난해 대비 39.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택경찰서가 7일 공개한 '2025년 1~6월 교통사고 및 사상자 통계'에 따른 결과로 같은 기간 전체 교통사고 건수도 19.1%p 줄었으며, 사망자와 부상자 수 역시 모두 감소했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평택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해 경찰청의 특별 컨설팅을 받았던 도시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교통량 증가와 인구 유입, 외국인 증가 등 교통사고 위험 요인이 지속된 상황에서도 음주 단속 강화, 사법처리 강화, 지역사회 홍보 등 복합적인 대응 전략이 실효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평택경찰서는 올해 상반기 총 44회의 교통·지역 경찰 합동 음주운전 단속을 벌였다. 기존 교통경찰 중심의 단속에서 벗어나 지구대와 파출소까지 투입된 전방위적 대응이었다.


4월에는 경기남부경찰청과 평택경찰 서장이 직접 참여한 대규모 단속도 있었다. 1번 국도 양방향을 통제하고 싸이카·순찰차 19대, 경찰관 33명을 투입해 음주단속을 실시했다. 특히 출근길 숙취운전까지 겨냥한 오전 단속도 병행되며 단속 효과를 극대화했다.


엄정한 사법 처리도 단속과 함께 이뤄졌다. 평택경찰은 올해 들어 사고 없이도 상습 음주운전 혐의로 2명을 구속했으며, 사고를 일으킨 3명은 위험운전치사상 혐의로 구속했다.


또한 상습 음주운전자 차량 23대를 압수하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이는 단순 계도 차원을 넘어, 습관성 음주운전에 대한 사전 차단 효과를 거두기 위한 전략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단속의 범위는 도로 위에만 그치지 않았다. 평택경찰서는 지구대장·파출소장을 중심으로 자율방범대, 생활안전협의회 등 지역협력단체와 연계, 단속 계획과 사법처리 사례를 공유하고 시민 계도 활동을 전개해 왔다.


신문, 방송 등 언론을 통해 25회 이상 단속 사례를 공개, 시민들에게 음주운전은 반드시 적발되고 처벌된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평택경찰서는 하반기에는 사고 다발 지역에 대한 도로교통시설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 특히 평택 서부지역 5개 읍·면이 전체 교통사고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지역을 중심으로 파손된 도로 복구, 가로등 증설, 과속단속장비 설치 등 인프라 개선이 진행될 예정이다.


경찰은 우회전 단속, 안전띠 착용 캠페인, 노인대학 교통안전 강의 등도 계속 이어가며 사고 예방을 위한 다각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임종열 평택경찰서 교통안전계장은 “하반기에도 ‘교통사고 30% 감소’라는 목표를 끝까지 추진할 것”이라며 “시민 여러분의 자발적인 협조와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함희동 기자 seouldaily@hanmail.net


 #평택in뉴스 #평택인뉴스 #평택시 #평택 #평택경찰서 #평택음주운전단속 #평택교통사고통계


[Copyright ⓒ 평택인뉴스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호명 : 평택IN뉴스    대표자 성명 : 조석채    사업장 주소 : 경기도 평택시 조개터로37번길 23 205호    연락처 : 031-691-5696    이메일주소 : ptinnews@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190-04-02139    등록번호 : 경기,아53005    등록일자 : 2021.09.03    발행인 : 조석채    편집인 : 서인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서인호
Copyright © 평택IN뉴스 All Rights Reserved.